지방세 분할납부
오늘은 지방세 분할납부 대해서 생각해 볼까 합니다.
재산세 납부기한을 초과하게 되면 부과 가산금이 추가징수 됩니다. 7월 1일 납부 기한을 경과한 경우에는 3%의 가산금이 부과가 되는데, 8월 31일까지 미납할 경우 여기에 0.75%의 중가산금이 추가로 부과가 됩니다. 이는 재산에 대한 세금과 도시 지역분 세액을 합해 30만원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이 된다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세금 납부를 할 때 처음 치고는 어렵지 않게 납부를 할 수 있었습니다.
고지서에도 여러 가지 방법도 나와있고, 기간도 어느정도 여유롭기 때문에 바쁘신 분들도 어려움 없이 납부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특히 지방세 분할납부 관련하여 재산세 납부하는 방법은 위택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간편합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고지서를 가지고 은행을 방문하거나 고지서에 적혀있는 전화번호를 통해 ars로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카드 혜택으로는 카드사마다 차이는 있지만 무이자 할부기간 혜택과 금액에 따른 캐시백을 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저는 세금이 얼마 되지 않아 할부를 하진 않지만 금액이 많은 분들에게 유용할 것 같아요. 그리고 위택스에서 결제를 할 때, 카드사별 이벤트 보기가 있어 결제 전 한번 꼼꼼하게 읽어보면 같은 카드라도 더 좋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재산세를 부과할 때, 위에서 산정한 세금에서 추가로 부과되는 세금도 같이 내야 하는데요. 이것은 바로 지방교육세라고 불립니다. 이것은 지방교육의 질적 향상에 필요한 지방교육재정의 확충을 위하여 재원을 확보하고자 하기 위해 부과되는 세금을 뜻하죠. 이것은 본 재산에 대한 세금의 산출세액의 20%를 책정하여 납부하도록 합니다. 이것도 본 세금과 함께 7월과 9월에 납부하면 되겠죠. 지금까지 내가 가진 재산에 대한 세금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는데요. 현재 9월 납부기간을 앞두고 있습니다.
납부 할 금액이 남아있는 분들은 9월 세금 납부기간을 잘 알아보고 나머지 금액을 납부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방세입 모바일 고지서 서비스는 기존 우편을 통해 받고 있던 고지서를 삼성카드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모바일 앱카드를 통해 납부까지 원스톱으로 처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재산세 납부 기간을 맞아 카드사들이 다양한 혜택을 담은 이벤트를 마련했다면서 본인이 가진 카드 혜택을 미리 확인해 재산세도 납부하고 다양한 혜택도 함께 누리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재산세 고지서가 나오는 7월이 돌아오면 전화벨 소리가 끊이질 않는데 올해는 세금이 늘면서 일이 더 늘었다는 얘기다고 합니다.
이후 9월에는 나머지 주택분 50%와 토지분 재산세가 과세된다고 합니다. 지난해 서울 토지분 재산세는 총 73만건, 2조989억원으로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68%) 대비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지방세 분할납부 관련 내용으로 향후 방안 발표 후 내년 6월1일 이전까지 인하된 재산세율을 기초로 한 새 지방세법이 시행돼야만 내년부터 인하된 세율이 적용된 재산세 부과가 이뤄질 전망이라고 합니다.
한편 김상훈 미래통합당 의원이 서울시와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4만541가구에 불과했던 서울의 재산세 세부담 상한 30% 부과 가구는 올해 57만6294가구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현행 지방세법은 재산세의 급격한 증가를 막기 위해 공시가격 6억원이 넘는 가구는 전년 대비 30%까지만 세금이 늘어나도록 하고 있다고 합니다.
울산시 관계자는 재산세는 시민들을 위해 쓰이는 소중한 재원으로, 재산세를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않을 경우 3%의 가산금 추가납부 등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며 납기를 지켜줄 것을 바란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특히 주택분의 경우 재산세액이 20만원 이하인 납세자에게 이달에 한꺼번에 부과되며, 20만원 초과 시 7월과 9월 각각 50%씩 부과된다고 합니다. 올해부터 도입된 지방세입계좌 납부서비스는 지방세 고지서에 기재된 전자납부번호를 입금계좌번호로 활용해서 이체수수료 없이 세금납부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상 지방세 분할납부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즐거운 시간 되세요.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환급일 알려드립니다. (0) | 2020.09.07 |
---|---|
롯데카드 지방세 이벤트 무엇일까 (0) | 2020.09.06 |
국세청 세목코드 주요 정보 (0) | 2020.09.05 |
종부세 대상지역 핵심 정보 요약 (0) | 2020.09.05 |
토지 취득세 납부기한 살펴보기 (0) | 2020.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