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재산세 계산 이것만은.
부동산 재산세 계산
이번엔 부동산 재산세 계산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국내에서는 재산세를 총 2번에 걸쳐서 냅니다. 6월 기준으로 주택이나 토지, 선박, 건축물, 항공기, 차량 등을 가지고 있으면 공시지가에서 * 60%를 과세표준으로 계산하여 납부하도록 명시하죠. 올해의 경우, 이렇게 해서 나온 세금을 7월에 1/2를, 그리고 9월에 나머지 반을 부과하도록 합니다. 올해의 경우, 7월은 16일부터 31일, 그리고 9월은 16일부터 30일까지 부과하면 되겠습니다.
본 세금을 계싼하려면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를 해서 제공하면 되는데요. 여기서 과세표준은 공시지가에서 * 60% 해서 산정하면 됩니다. 공시지가의 경우,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로 국토부에서 확인도 가능한데요. 아파트의 경우, 매년 4월마다 발표하게 됩니다.
특히 부동산 재산세 계산 관련하여 재산세 납부하는 방법은 위택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간편합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고지서를 가지고 은행을 방문하거나 고지서에 적혀있는 전화번호를 통해 ars로 납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카드 혜택으로는 카드사마다 차이는 있지만 무이자 할부기간 혜택과 금액에 따른 캐시백을 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저는 세금이 얼마 되지 않아 할부를 하진 않지만 금액이 많은 분들에게 유용할 것 같아요. 그리고 위택스에서 결제를 할 때, 카드사별 이벤트 보기가 있어 결제 전 한번 꼼꼼하게 읽어보면 같은 카드라도 더 좋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7월이 되면 고지서 하나가 집으로 날아오게 됩니다. 바로 재산세 납부를 해야 하는 달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주택과 건축물, 토지 등을 소유하고 있는 분들이 재산을 소유하고 있음에 따른 세금을 납부하는 것을 뜻합니다.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하는 토지와 건축물, 주택, 항공기 및 선박을 실질적으로 소유를 하고 있는 사람에게 소재지를 기준으로 부과가 되는 것인데, 과세권자인 지방자치단체가 납세고지서를 발송하여 징수하면,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이 적용되어 약 2주간 납부가 실시됩니다.
다만 시는 지방세법에 따른 세부담상한제 적용으로 전년 대비 일정 비율을 초과해 재산세액이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시는 또한 자치구간 재정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징수하는 재산세 중 1조4292억원을 공동재산세로 편성해 25개 자치구에 572억원씩 균등하게 배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공동재산세는 재산세 가운데 50%를 특별시분 재산세로 징수한 후 25개 자치구에 균등하게 배분하는 제도로 지난 2008년 처음 도입됐다고 합니다.
동해시는 지방세 특례제한법 제4조(조례에 따른 지방세 감면)에 따라 착한 임대인들을 대상으로 오는 7월에 부과하는 건축물 재산세를 최대 50%, 100만원까지 감면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지방세 특례제한법 제4조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장은 천재지변이나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한 사유로 지방세 감면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자에 대해 해당 지방의회의 의결을 얻어 감면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합니다.
부동산 재산세 계산 관련 내용으로 재산세는 집을 임대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을 반영한 연간 가치(AV Annual Value)를 기준으로 책정하는데, 직접 거주할 때와 임대를 줬을 때 재산세 세율이 다릅니다고 합니다. 자기가 살기 위해 구매한 집은 재산세를 낮게 매기고, 여러 채를 사서 임대를 하게 되면 재산세를 아주 높게 매겨서 수익을 환수하는 이런 제도, 한국에도 참조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집을 팔 땐 양도세(SSD Sellers Stamp Duty)도 내야 한다고 합니다.
1년 안에 팔면 매각금액의 12%, 2년 안에 팔면 8%, 3년 안에 팔게 되면 4%가 부과 되는데 그 이후로는 양도세가 없다고 합니다.
이어 다만 투기가 아니라 거주가 목적인 1주택자들에게는 정부가 징벌적인 정책 또는 과세를 완화해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고 합니다. 14일 구에 따르면 재산세는 과세기준일(매년 6월1일) 현재 주택, 토지, 비주거용 건축물, 선박 등 소유자에게 부과된다고 합니다. 납부대상은 제1기분인 7월에는 주택(50% 금액), 비주거용 건축물, 선박 소유자이고, 제2기분인 9월에는 주택(나머지 50% 금액), 주택 외 토지 소유자이라고 합니다.
이제 부동산 재산세 계산 포스팅을 끝맺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시간 되세요.